뉴스1 의뢰, 엠브레인퍼블릭 지난 16~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4자대결여론조사
3.9대선 D-50. 李 35.6% vs 尹 34.4% vs 安 14.4%…'단일화·양자' 安 강세뉴스1 의뢰, 엠브레인퍼블릭 지난 16~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4자대결여론조사
[로컬투데이=서울] 신수용 대기자/오는 3월 9일 치르는 제20대 대선을 50일 앞둔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다자 및 양자대결에서 모두 치열한 초박빙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.
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역시 다자대결에서 14,4%대였으며, 윤 후보와의 단일화 선호도 및 이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모두 우위로 나왔다.
여론조사 전문회사 엠브레인퍼블릭이 뉴스1의 의뢰로 윤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 7시간 녹취록공개를 전후한 지난 16~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한 4자대결여론조사결과 (표본오차는 95% 신뢰수준 ±3.1%p),이같이 분석됐다.
조사는 MBC 시사프로그램 '스트레이트'가 윤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의 이른바 '7시간 통화' 내용을 보도(16일 밤)한 이후인 17일까지 조사가 진행돼 이에 따른 영향이 일부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.
두 후보 간 격차는 1.2%p로 오차범위 내여서 우열을 가리기가 별의미없을 만큼 초접전이다.
이어 안 후보가 14.4%로 3위를 기록했다.
약 두 달 전 조사(지난해 11월7~8일)와 비교할 때 이 후보와 윤 후보는 접전 양상을 유지했지만 안 후보의 지지율은 6.8%에서 7.6%p 올랐다.
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2.4%,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는 2.3%를 각각 기록했다.
'3.9대선이 민주당 이재명·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양자 대결로 치러진다면 어느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가'라는 질문에 이 후보는 43%를 기록, 윤 후보 42.4%로 0.65%p로 초접이었다.
'대선이 민주당 이재명, 국민의당 안철수의 양자 대결로 치러진다면 어느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가'라고 물음에 37.9%가 이 후보를, 47.7%가 안 후보를 꼽아 이후보가 안 후보에게 오차범위 밖에서 뒤지는 것으로 집계됐다.
반면 당선 가능성에선 이 후보는 48.8%를 기록, 윤 후보(34.9%)와 안 후보(4.1%)를 크게 앞섰다.
이 후보가 양자·다자대결에서 윤 후보와 접전을 벌였지만 정권교체 여론은 지난 조사와 마찬가지로 절반을 넘었다.
3.9 대선결과 기대와 관련, 응답자의 52.8%는 '정권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'고 했다.
반면 , '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'는 응답은 37.2%를 기록했다.
이는 지난 조사에서 19.4%p에 달했던 정권교체론과 정권유지론의 차이는 15.6%p로 좁혀졌지만 여전히 큰 격차다.
야권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선 응답자의 52%가 윤 후보와 안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져야만 정권 교체가 가능하다고 답했다.
단일화와 관계없이 정권 교체가 가능하다는 응답자도 30.2%에 달했다.
야권 단일후보 선호도에서는 안 후보가 50.3%를 기록해 윤 후보33.5%로 16.8%p로 앞섰다.
'대선후보 간 TV토론시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볼 토론 주제'(2개 응답)로는 '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'을 택한 응답자가 62.9%로 가장 높았다.
이어 '부동산 시장 안정'(55.4%), '복지제도 등 사회안전망 확충'(37.1%), '여성가족부 폐지 등 남녀갈등 문제'(16.8%), '후보 및 가족의 신상에 대한 의혹'(11.9%) 순이었다.
'TV토론을 계기로 지지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'는 응답자는 41.5%였고, 'TV토론만으로 지지 후보를 바꿀 생각은 없다'는 응답자가 56.7%였다.
'문 대통령의 전반적인 국정 수행'에 대한 평가에 55.4%는 '잘못하고 있다'고 했고, 41.9%는 '잘했다'고 했다.
정당지지도는 국민의힘(36.2%), 민주당(35.0%), 국민의당(6.7%), 정의당(3.2%), 기타정당(2.5%) 순이었다.
이번 조사는 성·연령·지역별 할당 후 휴대전화 가상번호에서 표본을 추출한 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(무선 100%) 방식으로 실시됐다.
2021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·연령·지역 인구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했다.
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. <저작권자 ⓒ 로컬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댓글
|
많이 본 기사
|